1.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이해
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필요
▷ 비즈니스적 관점
- 어떤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가?
▷ IT적 관점
-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가?
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정의
▷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고 데이터와 관여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는 작업
▷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단계
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정의
▷ 사용할 데이터를 선별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저장·사용할 방법이 필요
▷ 데이터 모델
- 데이터의 의미, 데이터 타입, 연산 등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개념(표기법)의 집합
▷ 데이터 모델링
- 데이터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추상화하는 과정
- 실세계의 일부분을 DBMS가 지원하는 데이터 모델의 형태로 나타내는 과정
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단계
▷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
-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추상화하고 해석 오류를 방지
- 실세계의 데이터를 개념적으로 일반화시켜 데이터 타입, 속성, 관계, 제약조건 등을 이끌어내는 과정
▷ 논리적 데이터 모델
- DBMS의 구현 모델에 맞춰 데이터의 구조를 표현
- 데이터 정의 언어로 기술된 스키마(schema) 생성
▷ 물리적 데이터 모델
-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내부 저장구조, 파일 구성, 인덱스, 접근 경로 등을 결정하는 과정
2.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
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의 필요
▷ 데이터에 대한 충분한 사전 분석없이 적절한 설계가 불가능
-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점차 복잡해지고 수명 주기가 단축되는 최근 경향에 신속, 정확성이 요구
-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 운용에 초점
▷ 사용자의 요구를 명세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
- 결과물의 완성도 저하 및 신뢰도 추락
- 개발 후, 발생하는 에러 수정에 대량의 추가 비용 지출
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의 개념
▷ 정보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업무를 분석
-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업무 처리를 지원
-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및 운용할 수 있는 구조 개발
▷ 도출 → 분석 → 기록 단계로 수행
☞ 국제 표준화: IEEE-Std-830
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과정
[ 제안요청서 ] → 요구사항 도출 → [ 요구사항 명세서 ] → 요구사항 분석 → [ 요구사항 정의서 ] → 요구사항 기록
728x90